| 135 |
퇴직금 사전포기각서의 효력 등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7.04.27 |
| 134 |
근로자가 IRP계좌 개설을 거부하는 경우 퇴직급여 납부 방법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7.04.25 |
| 133 |
식비(식대)는 최저임금의 적용을 위한 임금에 산입되지 않고, 차량관리비는 최저임금의 적용을 위한 임금에 산입된다.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7.03.13 |
| 132 |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도급금액 인상분을 수급인이 근로자에게 지급하지 않더라도 근로자가 지급 받은 이금이 법정 최저임금 이상이면 최저임금법 위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7.02.27 |
| 131 |
장소가 분리되어 있고 업무성격이 상이한 본사와 지사가 존재한다면 대상별로 취업규칙 작성이 가능하다.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7.01.26 |
| 130 |
지점장이「근로기준법」상의 관리ㆍ감독업무 종사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2.19 |
| 129 |
근로기준법 제62조에 따른 연차휴가 대체제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있어야 한다.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2.14 |
| 128 |
아파트관리소장이 관리ㆍ감독업무에 종사하는 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2.14 |
| 127 |
정년퇴직자의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지급 여부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1.15 |
| 126 |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적용 및 소급합의의 유효성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1.14 |
| 125 |
기간제근로자 주휴일 부여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1.07 |
| 124 |
탄력적근로시간제 및 보상휴가제 도입시 근로자대표 관련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0.24 |
| 123 |
연장근로는 근로의 내용이 공익적 목적이 있는 경우라도 관련 규정에 따라 개별 근로자의 합의하에 실시 되어야 한다.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0.24 |
| 122 |
교육수당을 지급하는 교육시간의 근로시간 해당 여부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0.19 |
| 121 |
회사의 지휘ㆍ감독을 받지 않는 대기시간의 근로시간 여부
|
공인노무사 박봉규 |
2016.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