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봉규 노무사와 함께하는 노동법률 상담소 
노동이슈
노동판례
행정해석
재결례
 
 
  >   자료실   >   행정해석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90 1년 이상 근로한 단시간근로자의 퇴직급여 발생 및 퇴직연금 반환 여부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2.10
89 1년 3개월 근무시 1년 근로에 대한 연차유급휴가 이외 잔여 3개월의 연차유급휴가 부여 의무는 사업장의 취업규칙 등에 다른 특별한 정함이 없는 이상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2.01
88 소정근로시간이 1주 15시간 이상이고 다음주 근로가 예정돼 있다면 주휴수당은 발생한다. 다만, 이때 규칙적인 연장근로를 했어도 연장근로를 제외한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2.01
87 청소년문화의집 기간제근로자는 사용기간 제한 예외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2.01
86 관계사 전출입으로 근속기간을 승계하는 경우에는 A사의 퇴직신탁 적립금을 B사의 퇴직신탁으로 이체할 것이 아니라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하여 이전하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27
85 추후 노동위원회로부터 부당해고로 인정받으느 경우라 할 지라도 해고예고 의무 위반으로 처벌이 가능하다.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25
84 다태아 임신 후 유산 사산이 발생하였을 때 휴가 부여 기준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23
83 1. 퇴직 전에 노사 당사자 간 약정으로 근로자의 퇴직금 청구권을 사전에 포기하는 것은 무효이다.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17
82 단체협약에 근거하여 1년을 단위로 산정되어 근로자 모두에게 매월 정기적ㆍ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이 최저임금법 제6조에 따른 최저임금에 산입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12
81 교섭창구단일화절차 단계에서 사용자가 개별교섭에 동의한 후 노동조합에 단체협약 갱신 안을 제시하며 교섭대상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11
80 위탁해지에 따른 수탁업체 교체시 기존 근로자에 대한 고용승계 의무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1.02
79 매년 약 10개월의 근로계약을 반복한 경우 계속근로의 인정여부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0.12
78 일용근로자는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경우에도 고용보험법이 적용된다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10.08
77 퇴직의 효력발생시기 관련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08.06
76 감시·단속적 근로자가 야간근로를 하는 경우에도 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공인노무사 박봉규 2015.08.04
맨처음으로1 2 3 4 5 6 7 8  910   
 
(06060)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158, 703호 (논현동, 율암빌딩)  /  대표공인노무사 박봉규
TEL : 1833-5857  /  MOBILE : 010-2445-5853  /  FAX : 02-543-2901  /  E-MAIL : cmcpla@naver.com   © 2014 CheonMyung. All rights reserved.